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약어 : KJHP
2014 vol.19, no.1, pp.147 - 166
DOI : 10.17315/kjhp.2014.19.1.008
발행기관 : 한국건강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건강심리학회
1689 회 열람

본 연구는 SNS 과다이용자들의 중독경향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SNS 중독경향성의 개념을 밝히고, 중독경향성의 구성요인을 현저성, 내성, 기분전환, 재발, 금단, 갈등,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8개로 규명하였다. 이후 7개 요인을 바탕으로 52개 문항을 개발 한 다음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6개 요인으로 구분하여 31개 문항으로 구성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대상은 남녀대학생 331명(연령: 17-29세) 이었고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 4개 요인의 구조를 가진 24문항을 구성했다. 4개 요인은 일상생활장애 및 조절실패, 몰입 및 내성, 부정 정서의 회피,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이며 척도의 전체 신뢰도(Cronbach' α)는 .92였다. 개발된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 중독척도, 외로움척도, 우울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성별 및 이용시간, 이용빈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외로움과 우울은 SNS 중독경향성을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which can be used to measure the SNS addiction proneness. First of all, we have to clarify the concepts of SNS addiction, and derive at the eight factors: salience, tolerance, mood modification, relapse, withdrawal, conflict, disturbance of adaptive, and virtual life orientation. Then, 52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7 factors. We extract 6 factors from th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t the preliminary item analysis. In the main survey, data from 331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s (ages: 17-29) were analyzed. Item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re performed and we reach the final 4 factors composing of 24 items. The 4 factors were disturbance of adaptive life and control failure, preoccupation and tolerance, avoidance of negative emotions, and virtual life orientation and withdrawal, and reliability (Cronbach's α) was .92. Concurrent validity was conducted with other instruments such as the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Self-diagnosis, Loneliness Scale, and Depression Scale in order to confirm the newly developed instrume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had appropriate degree of correlations with the existing smart phone addiction scale and related variables. And, loneliness and depression were used as the variables to predict the SNS addiction proneness. Lastl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several valu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SNS 중독, 척도 개발, 타당화 연구
SNS Addiction,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study

  • 1. [학술지] 강현욱 / 2013 / 대학생의 SNS중독성향과 사회적 지지, 외로움, 건강지각, 대인관계의 관계와 신체활동을 통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적용 / 한국체육과학회지 / 22 (1) : 121 ~ 1 kci
  • 2. [학술지] 강희양 / 2012 /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31 (2) : 563 ~ 2 kci
  • 3. [학위논문] 고아라 / 2012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Facebook 사용자를 중심으로
  • 4. [학위논문] 김기모 / 2013 / 청소년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SNS 중독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 5. [학술지] 김동일 / 2012 /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 상담학연구 / 13 (2) : 629 ~ 2 kci
  • 6. [학술지] 김옥수 / 1997 /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 대한간호학회지 / 27 (4) : 871 ~ 4
  • 7. [인터넷자료] / 미디어다음
  • 8. [학위논문] 백초롱 / 2012 / 페이스북 사용과 대인관계 건강, 외로움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격려의 매개효과
  • 9. [학위논문] 徐渠 / 2013 / 페이스북(Facebook) 이용 중독이 대학생의 사회성 및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0. [인터넷자료] / 아시아투데이
  • 11. [학위논문] 오윤경 / 2012 /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 12. [학위논문] 우공선 / 2011 /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Mobile 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 충족과 중독 연구 :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 13. [학위논문] 유현숙 / 2013 / 사회불안 및 페이스북 이용동기가 SNS 중독과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심리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
  • 14. [학술지] 이상호 / 2013 /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 11 (1) : 255 ~ 1 kci
  • 15. [학위논문] 이선자 / 2013 / 또래와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불안이 스마트폰의 SNS중독정도에 미치는 영향
  • 16. [학술지] 이인숙 / 2012 / 일부 간호대학생들의 sNS 중독과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25 (1) : 21 ~ 1 kci
  • 17. [학술지] 전겸구 / 2001 /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 6 (1) : 59 ~ 1
  • 18. [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2013 /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용현황
  • 19. [학술지] 조성현 / 2013 /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18 (1) : 239 ~ 1 kci
  • 20. [학술대회] 최은진 / 2012 /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 행태 연구 / 한국 HCI학회 학술대회 / 2012 (1) : 911 ~ 1
  • 21. [학위논문] 피승정 / 2013 / SNS 사용행동에 따른 SNS 중독 가능성,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의 차이
  • 22. [학술지] 하지현 / 2012 / 인터넷 중독의 임상양상 / 한국중독정신의학회 / 16 (1) : 3 ~ 1
  • 23. [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 2012 / 2012년 상반기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 24. [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 2012 /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최종보고서
  • 25. [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 2011 / 스마트 사회 실현의 충분조건, 소셜미디어 활성화를 위한 소셜미디어 부작용 유형 분석 및 대응방향
  • 26. [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 2011 / 스마트폰중독진단척도개발연구
  • 27. [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 2011 /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고도화(3차)연구
  • 28. [단행본] 한국정보화진흥원 / 2012 / 국가정보화백서 / 한국정보화진흥원
  • 29. [인터넷자료] 한국일보 / 한국일보
  • 30. [학위논문] 한영민 / 2010 /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 31. [학술지] 황성욱 / 2011 /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 심리적 문제점 요인 분석 / 광고연구 / 19 (91) : 68 ~ 91 kci
  • 32. [학술지] Andreassen, C. S. / 2012 / Development of a facebook addiction scale / Psychological Reports / 110 (2) : 501 ~ 2
  • 33. [학술지] Boyd, D. / 2007 /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13 (1) : 11
  • 34. [학술지] Dhaha, I. S. Y. / 2013 / Predictors Of Facebook Addiction Among You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 Journal of Social Sciences(COES&RJ-JSS) / 2 (4) : 186 ~ 4
  • 35. [학술지] Elphinston, R. A. / 2011 / Time to face it! facebook intrusion and the implications for romantic jealous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 14 (11) : 631 ~ 11
  • 36. [학술지] Jelenchick, L. A. / 2012 / "Facebook depression?"Social networking site use and depression in older adolescents /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 52 (1) : 128 ~ 1
  • 37. [학술지] Karaiskos, D. / 2010 / social network addiction: A new clinical disorder? / EUROPEAN PSYCHIATRY / 25 : 855
  • 38. [학술지] Koc, M. / 2013 / Facebook Addiction Among Turkish College Students: The Role of Psychological Health, Demographic, and Usage Characteristics /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 16 (4) : 279 ~ 4
  • 39. [학술지] Kuss, D. J. / 2011 /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 8 (9) : 3528 ~ 9
  • 40. [학술지] Moreno, M. A. / 2011 / Feeling bad on Facebook : Depression disclosures by college students on a social networking site / Depression and anxiety / 28 (6) : 447 ~ 6
  • 41. [학술지] Pelling, E. L,. / 2009 /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pplied to young people's use of social networking web sites. CyberPsychology /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 12 (6) : 755 ~ 6
  • 42. [학술지] Radloff, L. S. / 1977 /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 1 : 385 ~
  • 43. [학위논문] Spraggins, A. / 2009 / Problematic use of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for college students:Prevalence, predictors, and association with well-being
  • 44. [학술지] Wilson, K. / 2010 / Psychological predictors of young adult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 13 (2) : 173 ~ 2
  • 45. [학위논문] Wan, C. / 2009 / Gratifications & Loneliness as Predictors of Campus-SNS Websites Addiction & Usage Patter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 46. [학위논문] Watson, B. R. / 2007 / Speaking up in the 21st century: Thd effects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internet self-efficacy on use of social networking websites
  • 47. [학술지] Wu, A. M. / 2013 / Psychological risk factors of addiction to social networking sites among Chinese smartphone users /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 2 (3) : 160 ~ 3
  • 48. [학술지] Young, K. / 1999 / Internet addiction : Evaluation and treatment / Student British Medical Journal / 7 : 351 ~
  • 49. [학술지] Zhnag, Y. / 2011 / Gratification, collective self-esteem, online emotional openness, and traitlike communication apprehension as predictors of Facebook uses /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 14 (12) : 733 ~ 12